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인터뷰

버려지는 철사로 환경을 위한 메시지 전하는 좋아은경 작가

2020-07-31

몇 달 전 그린디자이너 윤호섭 교수를 인터뷰하고 나서 그때의 감동과 여운을 기억하기 위해 잘 보이는 곳에 그의 손그림이 그려진 메모를 붙여 놓았다. 그가 디자인한 친환경 달력과 함께 있던 2020이라는 년도가 쓰여있던 종이인데, 미소를 짓고 있는 얼굴 모양이 예쁘기도 하고, 무엇보다 중요한 메시지를 가족이 함께 기억하며 생활하고자 하는 바람에서였다. 

 

그 덕에 온 가족이 열심히 분리배출을 하게 됐고, 비닐이나 플라스틱 일회용기들 앞에서 불편해지기 시작했으며, 환경을 지키기 위한 여러 활동들을 찾아보기에 이르렀다. 그러던 중 ‘일회용품 없는 여행 프로젝트’를 알게 됐다. 바다 동물들의 뱃속에 가득 찬 플라스틱을 보고 ‘혹시 내가 버린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던 좋아은경 작가의 제로 웨이스트 여행기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 텀블러, 밀폐용기, 장바구니, 수저를 들고 다니며 여행을 실천한 내용이었다. 그의 환경을 위한 실천에 관심이 갔고, 어떤 작업을 하는지 알고 싶어졌다. 

 

 

 

좋아은경 작가의 와이어 아트. 버려지는 철사로 만든 작품들이다.

 

 

좋아은경 작가는 와이어 아티스트다. 버려진 철사로 동물, 드로잉, 텍스트 등 다양한 작품을 만든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들을 접하면서도 철사에 대해선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철사를 재활용한 작품은 어떤 모습일지 잘 상상이 가질 않았다. 한편으론 불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한 해 동안 사용한 달력이나 수첩을 분리배출할 때 종이와 철사 분리가 쉽지 않았던 기억이 떠올라서였다. 늘 손도 아프고 철사의 모양도 엉망이 됐었는데 그런 철사도 사용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도 들었다. 그런데 첫 번째 작품의 재료가 바로 이 달력의 철사였고, 그 작업의 시작엔 윤호섭 교수와의 만남이 있었다.  

 

“2003년에 TV에서 윤호섭 선생님을 보고 인사동 티셔츠 퍼포먼스 현장에 그림을 받으러 갔다가 선생님 일을 안팎에서 하게 됐어요. 윤호섭 선생님께서 매년 친환경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그린캔바스 달력을 무료 배포하시는데, 작업실을 정리하다 보면 미처 배포되지 못한 해 지난 달력이 나오곤 했죠. 분리배출을 위해 달력에서 빼낸 철사의 구불구불하고 몽글몽글한 하얀 철사 덩어리의 느낌이 아까울 정도로 좋았는데, 그때만 해도 예술이나 디자인을 할 생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얼마간 보관하다 버리곤 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달력 위에 동그랗게 감긴 부분이 나뭇가지를 잡고 있는 새의 발 모양으로 연상돼,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를 풀어 새 모양을 만들게 됐어요.”

 

좋아은경 작가의 첫 번째 작품 <침묵의 봄>. 버려지는 달력의 철사를 이용해 새를 만든 작품이었다.

 

 

2012년 그렇게 첫 작품이 완성된 후 윤호섭 교수의 응원에 힘입어 그가 매년 주최하는 ‘녹색여름전’에 작품을 출품하면서 레이첼 카슨이 지구 생태계 파괴에 대해 경고하는 책 <침묵의 봄>을 떠올리며 작품에 <침묵의 봄>이라는 제목을 붙였고,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을 맞아 레이첼 카슨을 기리는 전시로 첫 개인전을 열었다. 버려지는 철사에 집중하던 작가는 양면 달력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철사로 제본되던 달력에서 철사를 빼는 아이디어를 냈고, 이로 인해 윤호섭 교수의 그린캔바스 달력은 2014년부터 용수철 제본 없이 제작되는 변화를 맞기도 했다. 

 

좋아은경 작가는 버려지는 철사만으로 작업을 하는데, 그나마 작품의 재료가 됐던 그린캔바스 달력의 철사마저도 없어졌으니 어디서 재료를 구할까, 양은 충분할까 궁금해졌다. 생활 속에서 버려지는 철사가 많지 않은 것 같아서였다. “생각보다 아주 다양하고 많아요. 처음에는 어머니의 부엌에서 구했고, 친구들이 모아주기 시작해서 친구의 가족들도 모아주세요. 일상에서 나오는 철사는 보통 먹을거리와 연관돼 있어요. 요리를 많이 하는 집에서는 시금치, 열무 등을 묶는 철사가 많이 나오는데, 김장철에는 정말 한아름 안겨주기도 하고요, 간단히 식사를 하는 학생이나 직장인 친구들은 빵 끈을 많이 모아줘요. 전자제품을 사면 전선을 묶어 놓은 철사가 나오기도 하죠. 그 외에도 건축 일을 하는 지인이 폐전기선을 모아주시기도 하고, 베이킹, 꽃꽂이 등 각종 취미 생활에서 사용되는 철사가 중도 포기로 인해 전혀 사용되지 않은 채로 제게 전해지기도 해요.”  

 

하지만 이렇게 모인 철사들을 사용하기 위해선 철사를 철사 포장재와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채소를 묶는 철사에선 접착된 종이를 분리하고, 빵 끈의 철사를 얻기 위해선 겉면을 칼로 긁어낸다. 재료 손질을 위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지만, 작가는 힘들다는 생각보다는 불필요한 배출이 없어져서 재료를 구하기 어려워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고 했다. 작업이 시작된 배경이 그랬던 것처럼 온통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이다. 

 

많은 사람들이 작가에게 철사를 전해준다. 그에 대한 고마움을 담아 그 모습 그대로를 전시하기도 했다. 

 

전시장에서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하는 좋아은경 작가

 

 

그는 철사를 모으는 과정에서도, 전시장에서 관람객과 만날 때도 작업을 할 때처럼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한다. “전시장, 강연, 워크숍을 통해 만난 분들이 철사를 전해주시기도 하고, 편지와 함께 배달이 되기도 해요.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정말 매번 감격해 눈물이 날 정도예요. 제 이름이 적힌 종이봉투 안에 들어있는 각종 철사, 나무 장작처럼 차곡차곡 쌓아 묶은 철사, 만나러 오는 길에 빵을 사 먹었다며 꼬깃꼬깃 주머니에서 나온 하나의 철사 등을 받은 모습 그대로 전시에서 선보이기도 하죠. 친구와 함께 전시장에 오신 친구 어머니께 '이 모빌은 어머니께서 챙겨주신 시금치 철사로 만들었어요' 하고 눈을 마주하며 감격하는 순간이 생기기도 하고요.”

 

집에서 나오는 많은 쓰레기 중에서 철사를 버릴 때만큼은 별로 죄의식을 느끼지 않았는데, 이렇게 작은 부분에까지 집중하는 한 작가로 인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됐다. 좋아은경 작가는 바로 그런 부분이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라고 했다. “잠깐이나마 환기를 시키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어요. 우리가 의식하지도 못한 채 쓰는 것들이 이렇게 다양하고 많다는 것, 철사뿐이 아니라는 것, 더 이상 버려지는 공짜 재료를 구할 수 없는 날이 와서 오히려 발을 동동 구르고 싶은 사람이 여기 있다는 것을요.”

 

좋아은경 작가는 자신의 첫 작품 제목을 ‘침묵의 봄’이라 이름 붙인 것처럼, 레이첼 카슨의 책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여전히 그의 책을 자주 들여다보는데 작가는 “이 메시지가 60년이 지나도록 낡지 않는다는 것과 그 경고가 유효한 것을 넘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는 사실이 슬프게 느껴진다”고 했다. 

 

 

 

 

최근 <아무튼, 산>의 2쇄를 기념해 한정으로 선보인 '침묵의 봄 책갈피'. 철사로 만든 두 마리의 새와 레이첼 카슨의 얼굴이 담긴 내지로 구성된다. 작가는 레이첼 카슨의 얼굴을 그려 넣고 '자연을 이루는 모든 것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레이첼 카슨의 글을 넣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마음을 담은 작가의 작품이 <아무튼, 산>이라는 책을 위한 이벤트를 통해 더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심플한 새 모양과 산뜻한 컬러가 잘 어우러진 ‘침묵의 봄 책갈피’는 의미도 좋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예뻐서 SNS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다. “LAN 선으로 만들었어요. 수집되는 철사 중에서 색상이 화려해서 작품에 쓸 엄두를 못 내고 있었는데, 구리선 위에 코팅이 돼 있어서 안전하겠다 싶어 워크숍 때 활용하기 시작했죠 익숙해지고 나서는 고마운 분들에게 레이첼 카슨의 메시지를 담아 선물하고 싶다는 생각에 '침묵의 봄 책갈피'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사실 이 책갈피는 이미 예전에 디자인됐고, 주변에 나누고 싶어 하는 이들이 있어 소량 제작해 동네 책방 등에서 판매하기도 했는데, 어느 날 제작을 중단했다고 한다. “저는 쓰레기를 그다지 배출하지 않는 삶을 사는데, 제가 만들어 내는 것 중에 비닐이 있다는 것이 멋쩍어서 2년 정도 제작을 중단한 상태였어요. 물론 남은 비닐포장봉투를 버리지는 않았고 꼭 필요한 순간에 쓰기로 하고 넣어두었죠. 그러다 제 소중한 벗이 책을 냈는데, 2쇄를 찍게 돼 이벤트를 열고 싶다고 했어요. 여러 브랜드에서 컬래버 제의가 들어온 상태였는데 상업적인 느낌에 주저하고 있다가 문득 제 생각이 났나 봐요. 우리의 우정처럼, 우리가 낳은 것이 잘 어울린다는 것이 얼마나 기쁜 일인지요. 오직 기쁜 마음으로 총 20세트를 만들어 전했습니다.”

 

작가는 현재 ‘나무를 읽는 목요일’이라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매주 목요일 SNS에 나무에 관련된 글을 철사로 필사해 올리는 작업인데, 벌써 시작한지 세 달이 됐다. 계기는 2018년 폭염과 올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였다. “대구에 살던 오빠가 서울에 올라와 너무 덥다고 해서 의아했는데, 알고 보니 대구가 폭염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고, 1996년부터는 적극적으로 도심 내외에 나무를 심어 그로 인한 효과가 발휘되는 모양이었어요. 여러 책과 자료를 접하던 중, 나오미 클라인의 기후위기에 대한 책에서 인용된 아룬다티 로이의 글을 보게 됐는데, '희망은... 숲과 산과 강이 자신들을 보호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일상적인 투쟁에 나선 사람들의 어깨동무 안에서 자라난다'는 문장이었어요. 숲을 보호하고 지구를 지켜야 한다고 말을 해왔지만, 사실은 숲이 나를 보호하고 지구가 나를 살게 한다는 것이었는데요, 그걸 깨닫고 한참을 멍하니 지냈어요. 그러다 코로나19로 외부 일정이 모두 중단된 어느 날, 이 작업을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무를 읽는 목요일' 메이킹 영상 중에서. 32시간에 걸쳐 레이첼 카슨의 글을 철사로 옮기는 과정을 타임랩스로 찍어 독일 친구에게 낭독을 부탁해 비디오로 제작하기도 하고, 존 버거의 시 중 ‘꽃가루 한 점은 산맥보다 더 오래되었고’라는 문장이나 아메리카 원주민의 어록을 옮기며 맞닿아 있다고 여겨지는 글들을 함께 업로드하기도 한다.

 

 

'나무를 읽는 목요일_ a Heaven in a Wild Flower'. 한 알의 모래 속에서 세계를 보며 /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본다 / 그대 손바닥 안에 무한을 쥐고 / 한 순간 속에 영원을 보라 (윌리엄 블레이크, <순수의 전조>, 민음사, 김종철 역)

 

'나무를 읽는 목요일_ when the last tree has been cut down'. 마지막 나무가 베어졌을 때 / 마지막 물고기가 잡혔을 때 / 마지막 강이 더럽혀졌을 때 / 그제야 우리는 돈을 먹고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을 것인가 (아메리칸 원주민 속담)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거나 자연파괴를 비난하는 내용과 다르게 나무에 대한 글귀를 찾는 데엔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철사로 단어 하나하나를 옮기며 내용을 곱씹는 작가는 곁에 두고 음미할 수 있는 문장을 찾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기 위해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는 달력을 분리배출할 때 철사를 빼기가 힘들다는 에디터에게 한 가지 팁을 전해주었는데, 바로 롱노우즈 플라이어(이름은 거창하지만 집에 하나씩은 다 있는 펜치나 니퍼다)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달력 용수철 끝부분을 잡고 쭉 당기면 드르륵 소리가 나면서 쉽게 분리가 되고, 이 작업을 반복하면 마음까지 비워지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거라 했다. 모두 꼭 시도해보길 바란다면서. 

 

좋아은경 작가의 작업도 바로 이런 게 아닐까. 작은 관심과 주의로부터 작업이 시작된 것처럼 우리에게도 조금씩 변화를 시도해보게 하는 것, 그렇게 서서히 진짜 중요한 것을 찾고, 행동으로 실천하게 하는 것 말이다. 적어도 그의 작품을 한번이라도 접한 이들은 철사를, 그리고 우리의 일상을 다시 보게 될 테니까. 

 

에디터_ 최유진(yjchoi@jungle.co.kr)
자료제공_ 좋아은경(www.yoaek.com)


 

facebook twitter

#와이어 #철사 #와이어아티스트 #버려지는철사 #좋아은경 #환경 #분리배출 #달력 #달력철사 #침묵의봄 #나무를읽는목요일 

최유진 에디터
감성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디자인, 마음을 움직이는 포근한 디자인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