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아트 | 리뷰

미리 보는 2012 사진전

2012-06-13


2012년은 비엔날레의 해다. 9월부터 11월까지 대구사진비엔날레를 비롯해 광주와 부산에서 일제히 비엔날레가 개최된다. 비엔날레의 영향으로 예년에 비해 대형 사진전시는 줄어든 편이다. 앙리 까르티에-브레송의 회고전과 스티브 맥커리의 전시 정도만 주요하게 예정되어 있다. 매해 1~2개의 사진전을 기획해오던 한겨레신문사가 올해부터 자체 기획전을 중단하고 미디어 후원만 하기로 해 대형 전시는 더욱 줄게 됐다. 예년에 비해 갤러리의 사진전시와 해외작가 초대전도 풍성함과는 거리가 멀다. 침체된 미술시장과 경기불황의 여파로 잔뜩 웅크린 모양새다. 그나마 사진미술관들은 다양한 기획전과 초대전으로 기대를 높인다.

글│현정아 기자
기사제공│월간사진

첫 외국인 전시감독이 맡는 대구사진비엔날레

2012년 열리게 될 대구사진비엔날레의 밑그림이 드러나며 확연히 달라진 사진비엔날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올해 4회 대구사진비엔날레는 처음으로 외국인 전시총감독을 선정할 예정이며, 비엔날레 예산도 지난 비엔날레의 9억원에서 16억원으로 대폭 늘어났다.

현재 물망에 오르는 전시총감독은 장 뤽 몽테로소(Jean-Luc Monterosso) 유럽사진미술관(메종 유로펜 드 라 포토그라피)의 디렉터를 비롯해 유럽쪽 인사들이다. 대구사진비엔날레 조직위원회측은 “복수의 후보 중 일정을 타진 중이며 운영위원회를 거쳐 1월중에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 운영위원은 “비엔날레의 국제적인 홍보나 국제적인 수준으로 전시기획을 끌어올릴 좋은 기회”라며 외국인 전시총감독을 환영했다.

대구사진비엔날레는 지금까지 3회 행사를 치르며 국내 사진가와 큐레이터, 사진학과 교수 등이 전시감독과 공동큐레이터를 맡아왔다. 그동안 외국인 전시감독이 물망에 오르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비엔날레 전시가 아시아 사진에 초점을 맞추면서 자연스레 국내 인사가 우선 섭외대상이었다. 한편 4회 대구사진비엔날레는 오는 9월부터 열릴 예정이다.

6명 아시아 여성기획자가 연출할 광주비엔날레

배움의 정원, 가능성과 위험성 시험하는 부산비엔날레


30~40대의 여성기획자 6명으로 공동예술감독을 선정한 광주비엔날레, 일반인과 협업을 통해 전시작품을 제작하는 실험적인 방식을 택한 부산비엔날레도 올해 개최된다.

9월7일부터 11월11일까지 66일 동안 광주비엔날레 전시관과 광주시 일원에서 열릴 9회 광주비엔날레는 올해 주제를 ‘라운드 테이블’(Round Table)로 정했다. 원형탁자란 의미의 라운드 테이블은 함께 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서로 다른 사람들, 시대적으로 서로 다른 순간들 그리고 예술생산에서 서로 다른 역할들은 물론이고 어느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구조에나 존재하는 권력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들까지 한데 모으는 전시로 기대된다. 또 사회 각계각층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시뿐만 아니라 워크숍 개최, 전자저널 발간, 레지던시 유치 등으로 담아내게 된다. 이에 앞서 (재)광주비엔날레 이사회는 공동예술감독으로 김선정(독립 큐레이터, 한예종 교수), 마미 카타오카(도쿄 모리미술관 수석큐레이터), 캐롤 잉화 루(중국 독립큐레이터), 낸시 아다자냐(인도 독립큐레이터), 와싼 알-쿠다이리(카타르 아랍현대미술관 관장), 알리아 스와스티카(인도네시아 독립큐레이터) 등 아시아를 기반으로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여성기획자 6명으로 선정했다.

부산비엔날레 조직위는 일찌감치 2012 부산비엔날레의 전시감독으로 베니스비엔날레와 맞먹는 영향력을 지닌 카셀도큐멘타의 예술감독을 지낸 독일인 로저 M 브뤼겔을 선정했다. 부산비엔날레가 올해 내놓은 카드는 ‘배움의 정원’이다. 기획자, 작가, 시민들이 참여하는 50여개의 배움위원회를 구성해 10개월 동안 서로 협업해 작품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작품 제작의 다양한 방식을 시험하고 공동체의 영향력을 가늠하겠다는 의도에서다. 또한 추상적이고 무미건조한 현대미술을 시민들에게 개방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려는 목적도 있다. 이처럼 가능성은 풍부하지만 실패할 위험성도 안고 있는 ‘배움의 정원’에 관해 브뤼겔 감독은 “예술의 창조 과정 전체가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고, 위험 없이는 재미도 없다”고 잘라 말한다. 부산비엔날레측은 오는 1월30일까지 시민들을 대상으로 배움위원회를 공개 모집하는 중이다. 2012 부산비엔날레는 9월22일부터 11월24일까지 열린다.

브레송, 스티브 맥커리, NG 사진전까지

지난 2000년부터 순회 전시를 시작한 앙리 까르티에-브레송(Henri Cartier-Bresson, 1908~2004)의 회고전이 올해 한국에 온다. 유로크레온/한국매그넘에이전트는 오는 5월 중순부터 3개월간 새로 개관하는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1층에서 매그넘의 공동창립자이자 ‘결정적 순간’의 사진가인 브레송의 회고전을 연다고 밝혔다. 전시는 생전에 브레송이 마지막으로 프린트를 감수한 빈티지 작품이 전시되며 그의 절친한 동료인 로베르 델피르(Robert Delpire)가 기획했다. 세계 최고 사진가와 기획자가 만들어낸 전시는 오랜만에 흑백사진, 빈티지 프린트의 농후한 세계로 인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고전은 세계 각 대륙을 취재한 브레송의 사진을 대륙별로 방을 만들어 사진 300여점을 선보이고, 친필편지와 프레스카드, 기념사진, 책 등 브레송의 기념품들도 함께 볼 수 있다.

한국에 두터운 팬층을 가진 스티브 맥커리(Steve Mccurry)의 전시가 2010년 전시에 이어 2년 만에 다시 열린다. 스티브 맥커리의 두번째 한국 전시는 ‘빛과 어둠 사이’를 제목으로 작가의 심미안에 포착된 60여개 나라에 관한 은유적인 감성이 담긴 작품이 소개된다. 전시를 기획한 어반아트의 박명숙 대표는 “슬픔과 괴로움, 추함까지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는 스티브 맥커리만의 화려한 예술언어는 여운을 남기는 영화처럼 마음을 위로하고 둔감해진 우리의 영혼을 맑게 씻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에는 60개국의 빛과 어둠의 이야기가 100여점 작품으로 펼쳐지며 희망과 절망, 전쟁과 평화, 분노와 환희 등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절정의 순간을 만날 수 있다. 스티브 맥커리 사진전 ‘빛과 어둠 사이’는 오는 9월10일부터 10월20일까지 40일간 예술의전당 V갤러리에서 열린다.

한편 전국 관객 25만명을 넘긴 내셔널지오그래픽(NG)의 ‘지구를 담은 사진전’의 두 번째 전시도 올해 열린다. 2010년 ‘Life&Nature’를 주제로 한 전시는 올해 ‘Wildlife’를 주제로 오는 8월12일부터 2달간 예술의전당 디자인미술관에서 개최된다.

사진미술관의 풍성한 기획전

한미사진미술관과 고은사진미술관은 올해 국내외 작가를 고루 소개하는 한편, 자체 기획전 형식으로 굵직한 전시를 준비 중이다.

한미사진미술관은 3월31일부터 6월9일까지 일본 작가 마유미 테라다(Mayumi Terada)의 작품을 선보인다.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2001년부터 뉴욕과 일본을 오가며 왕성하게 활동 중인 작가는 사진의 근본적인 속성인 ‘빛’의 미학을 꾸준히 연구해왔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빛의 움직임과 느낌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섬세하게 포착하는 마유미 테라다의 전시는 대표작인 ‘Living Absence’ 시리즈와 신작들로 나뉘어 소개된다.

이어서 박홍순의 전시가 6월23일부터 8월18일까지 예정되어 있다. 전시는 백두대간을 시작으로 한강, 서해안, 남해안으로 내려오면서 인간과 자연, 환경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박홍순의 국토대탐사 중간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밖에 한미사진미술관은 하반기에 ‘서울’을 테마로 한 기획전도 준비 중이다. 작가가 중심이었던 기존의 기획전과 달리, 하나의 테마를 중심으로 꾸며지는 전시이다.

부산의 고은사진미술관은 3월부터 6월까지 <한국현대사진의 조망> 전을 선보인다. 데비한, 김희정, 배찬효, 원성원 등 참여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현대사진의 현 위치를 조망할 뿐 아니라 매체의 확장을 통해 사진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도 모색한다. 이어서 6월부터 9월까지는 부산사진의 초창기 작가를 발굴하는 ‘풍경의 기억’이라는 주제로 배동준의 개인전이 열린다. 고은사진미술관 신관에선 3월부터 6월까지 핵과 원자력을 주제로 한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정주하(한국), 위르겐 네프쯔거(독일), 후사코 코다마(일본) 등 3국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원자력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일상과 어떤 식으로 연관을 맺고 있는지 존재감을 상기시키는 전시다. 이어서 5월부터 9월까지는 동시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전시도 열린다. 또한 아트선재센터와의 공동기획으로 오형근의 신작을 선보이는 전시가 열린다.

오형근, 김상돈, 권오상 등 기대되는 신작들

사진가들의 신작을 만나는 반가운 전시가 몇몇 갤러리에서 준비 중이다. 먼저 고은사진미술관과 아트선재센터의 공동기획으로 오형근의 전시가 준비되고 있다. 오형근은 1989년 다큐멘터리 작가로 시작해 1997년부터 아줌마, 여고생 등 한국사회의 특정 인물군의 유형을 찍으며 사회학적인 초상사진이란 신조어를 만들었다. 그는 지난 몇 년간 국방부의 협조를 받아 ‘군인의 초상’ 시리즈를 작업해오는 중이다. 그간의 작업과 함께 공개되는 오형근의 신작은 5월3일부터 6월17일까지 아트선재센터에서 먼저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아트선재센터는 2012년 올해부터 3년간 박건희문화재단이 젊은 사진가에게 시상하는 ‘다음작가상’의 수상자 전시를 선보인다. 지난 2011년 제10회 다음작가상 수상자로 선정된 김상돈은 6월말부터 8월까지 아트선재센터에서 작품집과 함께 전시를 선보인다. 사진, 조각, 설치, 퍼포먼스,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자유롭게 활용하며 현대를 살고 있는 개인과 일상적 사물을 새롭게 조명해온 김상돈은 이번 전시를 통해 ‘약수’ 시리즈 등의 신작을 소개한다.

또한 80년대 민중미술을 대표하는 중견작가 박불똥의 전시가 10월 트렁크갤러리에서 선보인다. 처음으로 사진미디어를 작품에 접목한 작가의 신작들이 공개될 예정이다.

이밖에 5월8일부터 6월17일까지 아라리오갤러리 청담에서 권오상의 전시가 열리며, 6월달에는 학고재에서 노순택의 전시가 열린다. 사진과 조각매체의 조합으로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을 듣는 권오상은 그동안 선보여온 데오드란트 타입(Deodorant Type), 더 스컬프처(The Sculpture), 더 플랫(The Flat) 등 세 시리즈를 한 자리에 모은다.

또한 2월11일부터 3월18일까지 공근혜갤러리에선 마이클 케냐(Michael Kenna)의 <고요한 아침> 전이 열린다. 지난해 2월, 9천여명의 관람객을 모으며 호응을 얻은 <철학자의 나무> 전에 이어 선보이는 국내 두 번째 전시이다.

이민호, 김미루, 배찬효, 김아영 등 젊은 작가의 전시

작업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끊임없이 회의하고 의문하고 작업하는 신진 작가들. 올해 역시 많은 작가들이 신작을 발표하며 작업의 입지를 다져나간다.

가장 먼저, 정착되고 안정되기보다는 오히려 유목민적인 삶에 가까운 이 시대의 공간 풍경을 담은 이민호의 개인전이 3월 트렁크갤러리에서 열린다. 이어서 같은 장소에서 3월29일부터 5월2일까지 김미루의 개인전이 열린다. 한미 양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김미루는 최근 ‘돼지와 나’(Pig and Me)라는 다소 파격적인 퍼포먼스를 통해 작가로서의 입지를 단단히 다져나가고 있다. 이밖에도 트렁크갤러리가 지원하는 작가 중 한명인 배찬효의 전시가 10월25일부터 11월21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를 통해 배찬효는 ‘권력’을 주제로 한 신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종이 무대장치를 통해 삶의 유한성을 표현해온 김아영은 6월부터 약 한달간 갤러리현대 16번지에서 사진과 영상작업을 선보인다. 2006년부터 작업해온 ‘이페메랄 이페메라’(Ephemeral Ephemera)는 종이라는 유약한 재료로 무대장치를 만들어 우리의 유약한 삶의 무대를 재현하는 작업이다. 이번 전시에선 기존의 ‘이페메랄 이페메라’ 사진작업과 함께 처음 시도하는 영상작업 시리즈 ‘PH익스프레스 : 고요한 바다 너머’와 ‘어느 도시 이야기 Tales of a City’를 선보인다. 각각 역사적 자료와 에피소드를 재구성해 거문도와 부산을 둘러싼 이야기를 풀어낸다.







facebook twitter

월간사진
새롭게 떠오르고 있거나,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진가가 월간사진을 통해 매달 소개되고 있습니다. 월간사진은 사진애호가와 사진가 모두의 입장에서 한발 앞서 작가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심도 깊은 사진가 인터뷰와 꼼꼼한 작품 고새로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표 사진잡지입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