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ARE YOU HAPPY?
미술

문의요망

마감

2009-11-04 ~ 2009-11-10


전시행사 홈페이지
www.noamgallery.com



소비사회의 웃음에 관한 심미적 보고서
                                                                                                                                   
청춘의 미소에 관한 리포트, 연작은 김석이 오랫동안 품어왔던 삶에 관한 깊고 짙은 질문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도 그것을 관념의 차원이 아닌 매우 일상적인 실재의 차원으로 풀어낸 결과물이다. 이 여덟 점의 부조 패널은 이전의 작품들에 비해서 상당히 도발적인 키치 이미지이다. 김석이 키치 스타일을 도입했을 때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미소의 면면에 담긴 가짜 이미지를 극대화하려는 데 있다. 웃고 있는 젊은 미소를 포착한 후 이것을 실물의 서너 배 크기로 확대해서 사각 패널위에 부조 방식으로 고정시킨 근작들은 단일한 모티프에서 나왔다. 따라서 그것은 한순간에 동어반복에 빠질 수도 있는 단순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순함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 김석이 구사하는 정교한 언어의 매력이다. 그는 웃음에 관해 질문하는 방식으로 입체가 아닌 부조, 그것도 저부조가 아닌 고부조를 선택했다. 고부조는 관람자의 동선을 따라 극심해지는 부조의 형상인식 왜곡을 다소간 보완해준다. 그는 고부조라는 조형방식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매우 호소력 있게 전달하고 있다.

입체를 평면 위에 압착하는 조형 언어인 부조는 어느 한 시점에서 완벽하게 형상이 잡히는 작품이다. 따라서 그것은 특정한 지점이 아닌 곳에서 보았을 때 왜곡된 형태의 형상인식을 유발하곤 한다. 우리는 여기서 김석 작품이 한 작품을 둘러싼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서 매우 변화무쌍하게 변화한다는 점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평면과 입체의 차이를 실감하는 것은 물론이고 입체 그 자체에 있어서도 차별화를 이룬다. 그의 고부조 방식은 특정한 시점이 아닌 여러 시점에서 규범화한 미소의 이면을 드러낸다. 김석은 고정된 시선과 유동하는 시선의 차이를 실감할 수 있는 고부조라는 언어를 채택함으로써 자신의 질문을 가장 적절하게 드러내는 길을 찾은 셈이다. 입체라는 물질에 대한 우리 눈의 반응은 고정 시점보다는 유동 시점일 때 더욱 명쾌하게 드러난다. 가만히 서서 바라볼 때의 사물의 입체감과 움직이면서 바라보는 사물의 입체감은 질적으로 다른 법이다. 이러한 장치를 동원해서 김석은 관람객들로 하여금 작품을 감상하기보다는 관찰하게 만든다. 고정된 시점에 서서 고정된 이미지를 읽어내는 것이 아니라 왼쪽에서 오른 쪽에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커다란 얼굴 전면을 이모저모 뜯어보게 만드는 것이다.

연작의 대부분에서 패턴과 색채는 매우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그가 선택한 색채와 패턴은 동일률이 작동하는 얼굴부조들 사이에 서로 다른 내러티브를 생성해내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연작의 첫 번째 작품은 파란색 아이쉐도우에 천박해 보이는 볼터치와 립스틱의 색조화장으로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해서 ‘오바하는’ 싸구려 이미지를 담고 있다. 연작 3번과 4번, 5번은 과녁 모양의 원형 띠나 빨강 바탕에 노란색 스마일 아이콘, 몬드리안 색면 추상 패턴 등을 넣음으로써 정형화한 색채와 패턴 속에 존재하는 미소의 실체를 드러낸다. 그것은 무작위로 색을 단순나열함으로써 과잉 색채 소비 현상을 비판한다. 색채를 소비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는 모조 미소의 실체를 드러낸다. 연작 6번은 회색 톤의 올림머리 여성이다. 아래로 내려다보는 시선에 흑백사진의 이미지를 가미해서 추억속의 다소곳한 미소이다. 보라색의 옅은 미소를 지닌 연작 8번과 댓구를 이룬다. 그는 청년의 미소 연작에 한 점의 이질적인 요소를 끼워 넣었다. 연작 7번은 금박의 아기 얼굴이다. 두 살배기 아이의 본능적인 미소에다가 황금색을 입혀서 천진난만한 아이의 미소와 황금의 유혹이라는 반어법을 구사하고 있다.

김석은 지금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욕망을 캐묻고 답하는 데 있어서 관념의 세계로부터 실재의 세계로의 전환을 시작했다. 그는 워낙에 다양한 방면에 관심을 두어온 작가이다. 그는 욕망의 문제를 기본으로 인간, 자아, 삶, 사회 등의 문제 군을 폭넓은 스펙트럼으로 다뤄온 작가이다. 그가 지금까지 추구해온 세계는 관념 비판의 세계였다. 그는 관념적 탐구가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데 있어 절대적인 요인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하고 작업의 방향을 전환하기 시작했다. 최근의 얼굴 연작들은 그의 화두를 좀더 구체적으로 풀어내는 장이다. 말하자면 보다 좁고 깊게 들어가는 전략이다. 청춘의 미소 연작은 긴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10대에서 20대에 이르는 젊은 여성들이 웃음을 살포하고 그것을 소비하는 현대사회의 면면을 매우 심플한 구조의 플라스틱 패널에 담아낸 것이다. 이어서 그는 중년과 노년의 스테레오타입을 물을 것이다. 또한 그는 행복과 불행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분노와 고통, 상처와 치유 등의 문제에 접근할 것이다. 한 작가가 긴 안목으로 연작을 구상하고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은 세상과 대면하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예술가 주체를 재발견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무의식과 욕망의 문제에 천착해온 김석의 세계는 이제 사회적 무의식을 생활세계 속에서 포착하기 위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와 분석을 토대로 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단계로 접어든 것이다.

김석의 질문과 대답은 소비사회의 웃음에 관한 심미적 보고서이다. 그는 ‘모조 미소의 낭비’를 말한다. 마치 놀이동산 조각처럼, 또는 흔히 쓰는 말로 이벤트 조각처럼, 김석의 조각은 컬러풀한 색채를 구사하고 있다. 싸구려 가짜 이미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 그는 놀이동산 조각의 어법을 도입하고 있다. 그는 이 시대의 생기발랄한 젊은 여성들의 미소를 통해서 일상사를 살아나가는 사람들이 행복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을 들여다본다. 그는 청춘의 미소를 통해서 행복의 실체를 발견할 수 있을지를 묻고 답한다. 어느 것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모를 세상이다. 이 모습이 진짜인지 아닌지 장담할 수 없는 세상이다. 가짜가 진짜이고 진짜가 가짜일 수 있다는 얘기다. 그는 과잉 미소에서 싸구려 플라스틱 꽃의 화려함을 발견하곤 한다. 그는 젊은 여성들의 행복을 포착한 스테레오타입을 발견하기 위해 여러 매체에서 가장 전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얼굴 생김새, 표정, 헤어스타일, 각도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이렇듯 여기저기서 채집한 이미지들로 구성된 행복의 전형들은 각각의 캐릭터에 맞는 형태와 구도로 압축되었다. 이어서 그는 실제의 인물을 섭외하여 그 인물의 얼굴을 스테레오타입에 대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미소를 낭비하는 사회에는 행복을 가장한 소비사회의 경박함이 들어있다. 김석이 포착한 함박웃음들은 우리사회의 결핍을 대변한다. 현대사회는 웃는 개인을 조작한다. 웃음을 직조하는 사회, 웃는 얼굴을 전략적으로 배치하는 사회인 것이다. 그 수많은 웃음 가운데 박제화하고 상품화하지 않은 미소를 발견하는 일은 미디어가 아닌 우리의 삶 속에서의 일이라는 점을 망각하고도 남음이 있을 정도로 넘쳐나는 웃음들 가운데서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웃음마저도 소비하면서 살아간다. 또는 웃음에 의해서 소비한다. 따라서 김석이 말하는 웃음은 행복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있어 결핍한 진정한 행복의 부재를 대변하고 있다. 그는 무의식의 수준에서 잠재하는 행복의 부재 상황을 비판하기 위해서 소비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매우 정확하게 간파하고 그 결핍을 메우는 웃음을 흩뿌리고 있다. 그는 미소를 통해서 행복의 이미지를 반복재생산하는 사회의 이면을 차분하게 바라본다. 김석의 얼굴 패널은 미소조작의 사회에 대한 예술가로서의 질문이다. 나아가 그것은 웃음을 직조하고 소비하는 소비사회에 관한 심미적 리포트이며 행복을 조작하는 문화정치에 비판적 성찰이다.
/김준기(미술평론가)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