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림 展
가변적 질서
Variable Order
자각의 방_73x91cm_장지에 분채_2014
갤러리 도스
Gallery DOS
2014. 5. 14 (수) ▶ 2014. 5. 20 (화)
Opening 2014. 5. 14(수) pm6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 T.02-737-4678
www.gallerydos.com | http://blog.naver.com/gallerydos
응시_109x169cm_장지에 분채_2014
끝없이 변하는 푸른 물길
하늘을 비치는 물은 시간과 날씨 같은 상황적인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색과 결을 만들며 끝없이 변모한다. 거울을 바라보는 것처럼 맑고 고요했던 물이 한순간에 암청색의 어둠을 띄며 사납게 몰아칠 수 있음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불규칙하고 예측 불가능한 자연의 힘은 물이 끊임없이 육지로 밀려들어오고 빠져나가는 움직임을 만들어내고 육지의 모양 역시 바꿔버린다. 결국 물이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땅의 운명은 결정되며 때로는 그것이 섬이라는 이름을 갖기도 한다.
한아림에게 물은 인간이 살아가는 세계의 암묵적인 규칙을 반영하는 소재이다. 물결은 모종의 질서를 품고 작가에게 다가온다. 밀물처럼 사정없이 불시에 쳐들어오고 썰물처럼 예고 없이 유유히 떠나가 버리는 물결의 무차별적인 불의의 습격은 작가가 생각하는 삶의 성질과 여러 가지 요소를 공유하고 있다. 삶은 언제나 인간에게 예상치 못했던 결과를 안겨주는데 그것은 시련일 때도 있고 행복일 때도 있다. 그런 연속되는 놀라움을 발견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삶은 영위된다. 그 길의 끝에 있는 것이 어떠한 결과일지는 알 수 없으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분명하고 이미 시작된 시간을 우리는 결코 멈출 수가 없다. 한아림의 물결이 보여주는 흐름은 그러한 삶처럼 어느 곳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고정되는 것을 거부하며 멈추는 일이 없이 흘러간다. 어딘가로 향하는 푸른 물길에 함께하는 건 눈앞을 가리는 무수한 빗줄기다. 화면 속에서 하늘과 바다, 위와 아래, 안과 밖의 경계가 무너진 가운데 두 개의 푸름 사이에서 펼쳐지는 투명한 비의 장막은 물결과 같은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내어 두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런 빗물 속에는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세계의 조각들과 그들이 갖고 있는 변화의 가능성이 담겨있다. 작가만의 정의가 담긴 삶의 질서에 속하는 이 가능성들은 다양한 도상으로 그 안에 숨겨져 있다.
두 개의 물결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에 남게 되는 것은 땅의 형상이다. 정형과 비정형이라는 정반대의 속성을 갖고 있는 땅과 물이지만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한아림은 이를 협력 관계로 간주하며 이러한 관계에서 보이는 양면성의 공존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그 흐름 안에서 생겨나는 잔여물, 즉 ‘섬’은 육지에도 물에도 온전히 소속되지 못한 중립의 성질을 띠고 있다. 이는 고정되어 있으나 세월에 따라 형태가 변할 수 있는 유동적인 존재이다. 섬 안에 있을 때는 단단한 육지 같지만 바다에서 섬을 바라볼 때는 물 위에 떠 있는 부유물이라고 여겨진다. 땅과 물 사이를 가로지르는 흐름이 이런 이중적인 존재를 만들어낸 것이다. 섬은 고립된 공간이지만 실은 그 무엇과도 단절되어있지 않다. 이렇게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단일한 존재만큼 인간을 설명하기 적절한 소재임은 분명하다. 하나의 형상에만 머무르는 듯 하다가도 다시금 자연스레 형태를 바꿔나가는 섬은 작가의 그림 속에서 꾸준히 등장해오면서 이제는 무척이나 친숙한 메타포가 되었다.
쏟아지는 빗줄기 속에서 흐름은 다양한 색과 형태로 세계를 가로질러 나아간다. 그 모습은 고독한 여행가의 여정과도 같아서 과거와 미래를 헤아리기조차 쉽지 않다. 사각의 공백으로 향하는 한아림의 작품 속에서 물과 육지 그리고 하늘은 전부 물리적인 제약을 벗어난 구도와 형상으로 기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초현실적인 풍경 속을 가로지르는 물이 닿는 길을 작가는 의식 속에서 끊임없이 응시하면서 그 끝 너머에 있는, 출발점이었을지도 모르는 결말을 담담하게 기다리고 있다. 한 겹 한 겹의 물결을 차분히 그려나가는 반복적인 행위 속에서 작가는 오히려 하나로 고정되려는 마음을 지워내고 그 물결에 동참한다.
큐레이터 윤채원
생의 물결_100x100cm_장지에 분채_2014
무수히 많은 빗방울 속에 하나의 섬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내 사라지고 또 다른 섬이 모습을 드러낸다. 우리의 지각은 하나의 고정된 실체로 인지하지만, 이 둘은 오직 흐름 속에 일시적 응집일 뿐, 결코 고정되거나 완결되는 일이 없다.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 또한 이러한 흐름 속에 일시적 드러남이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를 조각내어 바라보는 까닭에 조각난 세계를 경험하고 만다. 살갗으로 바다를 경험하는 것과 풍경으로 바라보는 바다가 다르듯, ‘경험함’과 동시에 ‘경험하는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지각되는 ‘흐름’ 속에서 자유로워질 것이다. 흐름은 ‘음(陰)과 양(陽), 색(色)과 공(空), 위와 아래, 안과 밖’과 같은 실재의 양면성이 서로 공존하면서 연속적인 협력관계 속에 생겨난다. 그림자가 언제나 빛을 전제로 하듯, 잠들지 않았다면 깨어남 또한 없었을 것이다. 외부세계는 우리 내면의 반영이며,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의 지배를 받기 마련이다. 물질의 양면성은 끊임없는 줄다리기로 서로 모습을 바꾼다. 이렇듯 세계의 양면성이 변화를 만들어내고, 이 연속적인 변화가 곧 흐름인 것이다. 삶에서의 고통은 이러한 흐름을 이해하지 못할 때 온다. 좋은 일과 나쁜 일은 사실상 하나인데 어디에 초점을 고정시키느냐에 따라 희비(悲喜)가 갈린다. 무궁무진하게 모습을 바꾸는 물결은 오직 변화만이 세계(世界)의 유일한 질서임을 상기시켜 준다. 무수한 선으로 물결을 그려내는 행위는 일종의 명상과 같고, 변화를 거부하고 형상에 집착하는 마음을 씻어준다.
-한아림 작가노트 中
머무는 섬_162x122cm_장지에 분채_2014
Ceaselessly Changing Blue Waves
Like a mirror reflecting the sky, water undergoes ceaseless transformation as its color and texture change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day and weather conditions. We are already well aware that the lucid and tranquil water like the surface of a mirrorcould rage ferociously by turning into midnight blue colored darkness. The irregular and unpredictable force of the nature day after day creates high and low tides of the ocean, thereby altering the shapes of the land. Ultimately, the fortune of the land is determined by the movements of the ocean and the land, occasionally, is given the title island.
To Han Arim, water is the theme that reflects the tacit rules of the world in which we live. The waves approach the artist with certain orderliness. Indiscriminate and sudden attack of the wave that unexpectedly rush in like rising tide and serenely recedes like the ebb tide carries various characters and elements of life that the artist sympathizes with. Life always imparts unexpected results to human kind, which at times are ordeals and happiness at other times. Life continues by repeating the process of discovering such continuing surprises.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at is at the end of the road, it is clear that is the final destination and we cannot stop the time that has already started. The flow illustrated by the waves of Han, Arim, like such life, continues to flow without stopping by refusing to be fixated at some place in any form whatsoever. Countless rain streaks that block one’s vision are mingled with the blue water waves directed to somewhere. In the midst of the collapse of the boundaries between the sky and the ocean, up and down, and in and out on the canvas, the translucent rain curtain spreads out between the 2 sets of the blueness plays the role of connecting the divided realms of the 2 blueness by generating a passage similar to the water waves. Such rain contains the pieces of the world tha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point as well as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they have. These possibilities that belong to the order of life that contains the artist’s unique definitions are hidden in the iconographical image.
What is left behind as these 2 waves sweep over is the configuration of the land. Although the land and the water have opposite properties: one isfixed while the other has no particular shape, respectively, still they interact ceaselessly. Han, Arim considers it as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e double-sidedness illustrated in such relationship. Moreover, the remnant entity generated in the midst of these flows, that is, the ‘island’, has neutral property that belongs neither to the land nor water. It is a flexible entity whose configuration can change with time although it is fixated. When one is on the island, it feels like a sturdy land but if viewed from the ocean, it looks like an entity floating on the water. The flow that crosses between the land and the water created such dual-natured existence. Although an island is an isolated space, it is in fact not severed from anything at all. Since it is the only entity that can be seen from a diverse range of perspectives, it definitely is an appropriate theme to explain human beings. The island, which appears to maintain a single configuration but naturally transforms again, has become a very familiar metaphor that continuously appears in the works of the artist.
The flow in the midst of the pouring down rain streaks traverses through the world in diverse colors and configurations. This appearance is akin to the journey of a lonely traveler faced by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discerning the past and the future. In the works of Han, Arim that are directed towards the void in time, all of the water, the land and the sky are achieving peculiar harmony through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that transcends their physical limitations. The artist, while ceaselessly gazing at the path that water, which traverses the surrealistic scenery, comes into contact, is serenely and conscientiously waiting for the conclusion at the end of that path, which in fact may have been the starting point. In the midst of the repetitive act of composedly painting the water waves layer by layer, the artist immerses herself into those waves by erasing the desire to become fixated.
Curator, Yoon Chae Won
흐름양식_균형_184x122cm_장지에 분채_2014
An island appears in the midst of countless number of rain drops then shortly disappears to be revealed again as another island. Although our perception recognizes it as a single fixated substantive entity, these 2 are only a temporary cohesion in the flow and are never fixated or completely combined. Moreover, we ourselves are also momentary revelations in such flow. However, we experience fragmented world because we view the world by fragmenting it. Similar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cean experienced with our own body and the ocean experienced only through our view as a scenery, we can only be liberated from the perceived ‘flow’ when we are able to see ‘I that experience’, while ‘experiencing’ at the same time.
Flow is generated in the midst of coexistence and continuous cooperative relationship of the dual nature of the substantive entities such as ‘Ying and Yang, color and void, up and down, and in and out’. As shadow always presumes the presence of light, there would be no awakening unless one is asleep. The external world is a reflection of our internal world and what is visible is governed by what is not visible. Duality of matter undergoes transformation of configuration through ceaseless tug-of-war. As such, the duality of the world creates changes and these continuous changes are the flow. Agonies in life are experienced when one is not able to understand such flow. Although the favorable and unfavorable events are in fact one and the same, we experience joy or agony depending on where we fix our focus.
Water waves that infinitely change its appearance remind us that changes are the only order in the world. The act of drawing water waves with limitless lines is a form of meditation that cleanses the heart that rejects changes and is inclined towards configurations.
-2014 Arim, Han
가변적 질서_70x142cm_장지에 분채_2014
■ 한아림 | A-Rim, Han
2009년 홍익대동양화과일반대학원졸업 | 2007년 홍익대동양화과졸업
개인전 | 2014 < 가변적 질서> - Gallery Dos, 서울 | 2013 < 기묘한 여정> - 장천갤러리, 서울 | 2012 < 기묘한 여정> - KSD 문화갤러리, 서울 | 2012 < The land of Condolence> - 에이원 갤러리, 서울 | 2011 < 광저우 미림미술관 한·중·일 현대작가 초대展> - 미림미술관, 광저우, 중국(개인부스전) | 2009 < 한국화의 현대적변용-“다섯번째계절”展> - 예술의전당, 서울(개인부스전) | 2008 < Breathing> - The little gallery, Calgary, Canada
그룹전 | 2014 < White& Blue 2014 기획展> - 갤러리 앨리스, 광명 | 2014 < 通 -트이다展> _인사아트센터_서울 | 2014 < Fallin' 展 두 번째> - 토포하우스, 서울 | 2013 < 갤러리 아래아 기획 “크리스마스 감성소품展”> - 갤러리 아래아, 서울 | 2013 < “바다, 마실가다” 기획展> - 아산병원 갤러리, 서울 | 2013 < 리버사이드 갤러리 초대展> - 리버사이드 갤러리, 미국2013 < Tomorrow展> - Eve Gallery, 서울 2013 < Fallin' 展> - 토포하우스, 서울 | 2012 < 아시아프 ASYAAF> - 문화역서울 284, 서울 | 2011 < 대한민국현대한국화국제페스티벌> -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2011 < LOVE LOVE LOVE> - 가나아트센터, 서울 | 2010 < 백송화랑기획 "나르시스의방"展> - 백송화랑, 서울 | 2010 < GROW OUT展> - Gallery The K, 서울(4인전) | 2009 <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09> - 그랜드하얏트호텔, 서울 | 2009 < 옥과미술관기획초대 “바람을타고가다”展> - 옥과미술관, 전남 | 2009 < 아시아프 We meet the future> - 구기무사건물, 서울 | 2009 < International Park Fine展> - Park Fine Art Gallery, 뉴멕시코주, 미국 | 2008 < 한국. 미국, 일본현대미술 “차이와공존”展> – ASTO MUSEUM of ART, 미국 | 2008 < 도시에 쉼표를 찍다> – 경인미술관, 서울(2인전) | 2008 < 제14회 현대미술 한·일展> - 北千住1010 갤러리, 도쿄, 일본 | 2008 < 아시아프“우리가처음만났을때”> - 서울구역사, 서울 | 2007 < 대한민국뉴페이스·페인팅展> - 세종문화회관, 서울 | 2007 < 한일교류 "Beautiful Impact"展> - 경향갤러리, 서울 | 2007 < 한국∙ 터키 수교 50주년 기념展> - 이스탄불올디즈 왕궁전시관, 터키 | 2007 < same boat> - 경향갤러리, 서울
수상 | 제15회 관악현대미술대전대상 | 제10회 안견미술대전특선
매체 | 2013 MBC드라마 < 기황후> 세트 동양화작품 제작 | 2012 GOLF& ART 매거진 표지 및 작품 수록
현재 |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출강
webpage | facebook.com/arim.han.35
e-mail | rimii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