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리뷰

[디자인 이슈] 공예로 물드는 도시와 일상 ‘2024 공예주간’

2024-05-17

도시와 일상을 공예로 물들일 ‘2024 공예주간’이 시작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개최하는 ‘공예주간’은 공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국민에게 알리고 일상 속 공예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매년 5월 셋째 주에 열리는 종합공예문화축제로, 올해 7회째를 맞이했다. 

 

올해의 주제는 ‘도시-일상-공방(Urban-Life-Craft Studio)’으로, 도시와 일상에서 공예와 공방을 만난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올해부터는 지역이 가진 특색 있는 공예자원을 발굴하고, 일상 속 공예문화 확산을 위해 공예문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공예주간이 진행된다. 올 초 공모를 통해 선정된 공예문화 거점도시는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경상남도 진주시 등 4곳이다.

 

 

 

고성군은 청정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지역으로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공예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송지호 해수욕장과 아야진 해수욕장에서는 버려진 재활용품을 활용해 나만의 공예품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공예주간 기간에 고성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카페, 식당 등과 연계한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전통문화 도시 전주시에서는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한지, 한복, 한옥 등 풍부한 전통문화를 활용, 지역 내 공방, 작가와의 협업을 통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공예의 전통적 가치를 현대로 이어가는 장인들의 인생과 작업을 주제로 한 이야기 콘서트, 전북무형문화재 9인의 공예품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참여형 전시 등이 마련된다. 

 

 


고려청자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부안군은 부안 청자를 핵심 자원으로 삼아 부안의 주요 명소인 내소사, 변산해수욕장, 청자박물관 등에서 공예장터, 전시, 체험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채석강의 낙조를 바라보며 전북 무형문화재 방짜유기장 이종덕 보유자가 제작한 싱잉볼을 활용한 명상 체험도 이루어진다. 부안의 아름다운 자연과 공예가 어우러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프로그램이다. 

 

 

 

유네스코 공예·민속 분야 창의도시로 지정된 진주시는 관내 박물관 등 문화기관과 연계해 전통가구 제작 기법인 소목을 활용한 해주 소반 만들기 등 공예품을 직접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진주 골목골목에 있는 공방들을 방문해 각 공방만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열린 스튜디오 프로그램도 마련되며, 롯데몰 진주점에서는 진주 공예의 전통과 현재를 만나 볼 수 있는 공예품 전시 ‘공예도시 진주전’도 개최된다. 

 

 

 

 

서울, 강원, 울산, 제주 등지에서도 공예의 매력을 전하는 다양한 기획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서울 복합문화예술공간 통의동 보안여관에서는 공예작가, 차 생산자, 차 애호가 등이 함께하는 ‘다함께 차차차(茶) 크래프트 티 페스티벌’이 열리고, 서울공예박물관에서는 2023년 올해의 공예상을 수상한 김혜정 도예가, 서영희 디렉터, 허보윤 교수 등과 함께 일상의 한 부분으로 공예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크래프트 앤(CRAFT &)’이 열린다. 

 

강원 횡성군에서는 ‘안흥찐빵마을 가든파티 2–우연히 마주한 공예’를 통해 초, 도예, 가죽 등을 활용한 일일 강좌와 장터가 운영되며, 울산광역시에서는 한옥 공간에서 국내외 공예작가 50여 명의 작품을 선보이는 ‘크래프터즈(CRAFT US)’를 만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경기도 무형유산 제16호 장성우 한지장의 한지 제조 과정 시연, ‘마을 이장님과 함께하는 신효마을 공방투어’ 등 지역 공방들과 지역민이 협업하는 풍성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문체부 신은향 예술정책관은 “올해 공예주간은 지역공예가와 지역민이 힘을 모아 지역의 매력있는 공예자원을 발굴하고, 지역의 문화 자생력을 키우는 데 주안점을 두고 준비했다.”라며, “공예주간을 통해 여행하듯 지역 곳곳의 숨겨진 보물 같은 공방을 방문하고 일상 속 공예문화를 만끽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공예문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곳곳의 공방과 화랑, 문화예술기관에서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공예문화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이번 ‘2024 공예주간’은 5월 26일까지 총 열흘 간 진행된다. 

 

에디터_ 최유진 편집장(yjchoi@jungle.co.kr)

사진제공_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facebook twitter

#공예주간 #공예 #공예문화축제 #공예문화 #공예문화거점도시 

최유진 에디터
감성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디자인, 마음을 움직이는 포근한 디자인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