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립 | 2016-10-04
하얀 종이 위에 이리저리 휘갈긴 검은색 선으로만 표현된 아주 단순한 오브제들. 화려한 그림들이 난무하는 현 상황 속에서 극도로 절제된 성립의 그림은 확실히 눈에 띈다.
강강술래의 마지막 동작, 2016
점, 선, 면 그리고 흑과 백. 미술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지만 이것으로만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기는 어렵다. 아마도 사람들이 작가 성립의 그림에 끌리는 이유는 이 어려움을 극복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의 그림이 매력적인 또 다른 이유는, 단순하지만 모든 것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무언가에 쫓긴 듯이 대충 휘갈긴 선으로 표현된 사람들은 앉아있거나 혹은 걷기만 하는데도 어떤 감정인지가 느껴진다. 이렇게 사람들은 작가가 그린 선 안에서 지금까지 살면서 느꼈던 다양한 감정들을 발견하고, 삶을 깨닫는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그의 그림을 지켜보다가 문득, 작가에 대해 궁금해졌다. 인터뷰를 위해 만난 작가 성립은 시작하는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깊게 바라보며 진중하게 답을 했다. 역시, 그림은 작가를 닮는다.
주저앉는 동선, 2016.
인스타그램과 블로그를 보니 요즘 많이 바쁜 것 같아요.
최근에 갑자기 바빠졌어요. 그래도 다양한 일을 하니까 재미있어요. 작년 이쯤에 졸업 전시를 준비하면서 ‘작가가 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는데, 그 때를 생각하면 감회가 새로워요.
최근에 가수 샤이니의 영상을 작업하셨죠?
SM 엔터테인먼트의 의뢰로, 샤이니를 주제로 한 특별전시 ‘Shinee World’에 참여했습니다. 50초, 4분짜리 영상을 작업했어요.
매우 큰 클라이언트인데, 작업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나요?
남의 의견을 의식하면서 작업한 경우는 처음이었어요. 작가는 최대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모습을 자신의 방식으로 소화하려고 하거든요. 그래서 저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좁힐 수 있을까를 많이 생각했어요. 다행히 작가의 역량을 믿고 맡겨서 제 의도를 많이 살릴 수 있었습니다.
전시 ‘SHINee CONCERT - SHINee WORLD V’ 티저 영상, 50”, 2016
최근 2년 사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계신데요, 그림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대학교에서 순수 미술을 전공하면서 디자인을 복수 전공했어요. 디자인 분야로 취업하려고 했는데 잘 안됐죠. 그래서 진로에 대해 고민을 하던 중에, 고맙게도 제 그림을 좋게 봐주는 분들이 나타났어요. 덕분에 전시도 하고 작가로서 작업을 할 수 있었죠.
주로 사람들을 많이 그리시는데, 이유가 있나요?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인물 그리는 법을 배워본 적이 없어요. 과 동기들은 예중·예고 출신에, 모두 그림을 잘 그렸거든요. 그러다 보니 인물 드로잉에 콤플렉스가 생겼어요.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싶어 대학 2학년때부터 인물 드로잉을 시작했는데, 그 작업이 지금까지 이어진 거죠.
선이라는 요소는 어떻게 발견하셨어요?
그림을 그리다 보니 사람의 얼굴에서 선적인 요소를 발견했어요. 그리고 제가 선에 흥미가 있다는 사실도 알았고요. 성향을 알게 되니, 다음에는 ‘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고, 이런저런 시도를 하다가 현재의 표현 방식을 찾게 되었죠.
선으로 작업하는 작가로서, 선의 매력을 말해주신다면?
선은 사람들의 삶과 많이 닮았어요. 무수한 점들을 연결해야 선이 되듯이, 우리의 삶도 순간, 순간이 연결되면서 만들어지죠. 이런 생각에 그림도 우리가 일상에서 하는 사소한 행동들-앉아 있거나 걸어가는 모습-을 그리게 되었어요.
뛰어내릴 준비, 2016
서로가 예상치 못한 추락, 2016
작가님 그림은 형태도 뚜렷하지 않고, 일반적인 모습을 그리는데 그 안에서 모든 감정이 느껴지거든요. 혹시 영향 받은 작가가 있나요?
현대 개념미술 작가인 솔 르윗(Sol Lewitt)과 보레만스(Borremans)의 정서를 좋아해요. 단, 그림체나 형식보다는 감성적인 부분을 영향 받으려고 합니다.
드로잉 작업만큼 애니메이션 작업도 많이 하시는데, 언제부터 관심이 있으셨나요?
드로잉 작업을 하면서 항상 영상 작업을 하고 싶었는데, 졸업작품을 준비하면서 한 번 실현해보자고 생각했어요. 보통 1초에 15프레임으로 작업하는데, 모든 프레임을 일일이 그려서 스캔을 하죠. 이번에 작업한 샤이니 티저 영상은 거의 2,500장 정도 그린 것 같아요.
디지털 작업인 애니메이션에서 손 그림이라는 아날로그 감성이 느껴지는 것이 좋아요. 종이와 펜을 고집하는 이유가 있나요?
저는 손으로 ‘직접’ 그렸다 점에 의의를 둬요. 선 하나, 하나를 손으로 그린 그림들은 똑같은 오브제를 그려도 다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세상에 한 장밖에 없는 그림이 되거든요. 제 영상들은 움직임이 작아서 각 프레임들이 비슷해 보이지만, 모두 다른 그림인거죠.
드로잉과 영상 작업 외에도 책 삽화 작업도 하셨죠. 책 〈시선〉은 내용과 그림이 서로 좋은 시너지를 내고 있어서 좋았습니다.
책 〈시선〉은 완성된 글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김민준 작가가 먼저 제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이야기를 쓴 거예요. 또 제가 집필 중인 작가의 글을 보고 떠오르는 그림을 그려서 보내면, 작가는 또 그걸 보면서 이야기를 이어 나갔고요. 서로 주고받으면서 글과 그림을 완성하는 바람에 작업 기간은 오래 걸렸지만,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시 ‘폭발과 순환’ 포스터. 2016
성립 작가는 주로 연필과 목탄을 사용하는데, 그의 필통에는 연필이 종류별로 다 있었다. 하얀 책은 2012년부터 2년 동안 그린 그림을 모아서 낸 독립출판물. 그림과 함께 작가가 되고자 했던 시기에 고민했던 생각들을 함께 넣었다.
성립 작가가 애용하는 노트. 들고 다니기 편하게 무인양품(MUJI) 노트를 사용한다.
#예술 #성립 #선 #흑백 #펜그림 #폭발과순환 #시선 #애니메이션 #샤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