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아트 | 리뷰

Design Process, 정형에서 탈피

2003-10-14



제품을 디자인 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과정이 있다.
작은 물칩과 같은 소품에서 자동차나 중장비등과 같은 대형물에 이르기까지 특정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단계를 살펴보자. 간혹 처음 만나는 클라이언트(디자인 의뢰인)로부터 받는 질문중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어떻게 그렇게 각기 다른 많은 아이템을 디자인 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디자인을 진행하는 근본원리나 최소한의 필수과정을 이해하고 있다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디자이너나 디자인 회사마다 조금씩 다른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가장 공통적이라 생각되는 내용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우선 어떤 제품의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4+1 단계를 염두에 두고 계획을 짠다.
1. 조사, 기획 단계(Research Planning)
2. 디자인 컨셉 설정 단계(Design Concept Establishment))
3. 디자인 발전 단계(Design Development)
4. 디자인 확정 및 조정 단계(Design Control)
그리고 +1 단계로서
5. 양산 지원 단계(Design Fallow-up) 이다.



내용을 해석하자면 1단계는 디자인 하고자 하는 제품을 각종조사를 통하여 이해하고, 어떻게 디자인을 해나갈 것인가를 이론적으로 연구하는 단계이다.


1-1. Kick-off Meeting
1-2. 질문서 (Questionnaire) 작성
1-3. 일반 정보 수집
1-4. 세부 디자인 일정 결정
1-5. 디자인 컨셉 검토, 분석
1-6. 현장 방문 ( )
1-7. 사용자 조사 (Life Style)
1-8. 제품 일반 분석
1-9. 제품 및 시스템 분석
1-10. 시장 조사 (Design Factor)(Optional Process)
1-11. 조사 보고서 작성
1-12. 인터뷰
1-13. 샘플 수집
1-14. 유사제품군 실태조사 및 분석(국내외 경쟁사)
1-15. 해외자료 분석
1-16. Spec 결정
1-17. Research Meeting

1단계(이미지)

2단계는 이론적으로 연구된 결과를 가지고 새롭게 디자인 하고자 하는 대상의 주요 개념을 시각적으로 추출 정리하는 단계이다. 흔히 이야기하는아이디어스케치, 컨셉스케치 등이 이단계에 해당된다.


2-1. 디자인 방향 토의
2-2. 아이디어 전개 (2-D, 3-D 스케치)
2-3. 외관, 구조, 기능에 대한 연구
2-4. 재질, 제작 방법의 연구
2-5. 색상 관련 연구
2-6. 기술적 측면 검토 ? 제조 & 포장
2-7. 주요 부위 표현
2-8. 마케팅 및 광고 현황 참조
2-9. 형태 구체화
2-10. Concept Refinement Meeting, Concept Sketches / types, Pre-Selection / types

2단계(이미지)



3단계는 2단계에서 나온 결과물을 프레젠테이션 토의를 거쳐 디자인안의 방향을 압축하고 현실적인 각종 요소를 제고하며 구체적으로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단계이다.


3-1. 세부 요소의 평가
3-2. 기능적인 구조 배치
3-3. 공학적인 검토(설계, 양산, 포장 등 관련)
3-4. 간이 모형 테스트
3-5. 사용자 모의 실험
3-6. Details
3-7. Color Application
3-8. 세부 항목 측정
3-9. Feed-Back
3-10. Proposal Renderings & Dummy Models(Types)
3-11. 1st Design Presentation (디자인 안 결정)

3단계(이미지)

4단계는 3단계에서 결정된 디자인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디자인 모형으로 완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완성된 디자인 모형은 평가, 검토하여 디자인 설계 수정을 거쳐 양산 설계팀에 디자인 매뉴얼을 넘기는 것으로 디자인 완료 단계라 할 수 있다.


4-1. 1차 수정 및 보완
4-2. 디자인 Mock-up 설계
4-3. 디자인 Mock-up 제작
4-4. Final Design Presentation (디자인 확정)
4-5. 2차 수정 및 보완
4-6. 디자인 매뉴얼 제작
4-7. 디자인 매뉴얼 인도 (디자인 완료)

4단계(이미지)



+1 개념의 5단계는 넘겨진 디자인이 기구설계, 양산설계, 시제품 제작등의 과정을 거칠 때 각종 디자인 협의사항을 지원해주는 단계로서 최종 생산 제품이 디자인 원안대로 잘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지원 단계이다.


5-1. 기구 설계 감리
5-2. Working Mock-up 제작
5-3. Presentation(확정)
5-4. 수정 및 보완
5-5. 기구 설계도 완성
5-6. 인도

지금까지 제품디자인에서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 과정은 어디까지나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제품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공통된 과정이라는 것이다.

새롭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좀더 나름대로의 디자인 과정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형에서 탈피된 새로운 디자인을 위해서는 디자인 프로세스 또한 정형에서 탈피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조사이전에 아무런 선입견 없이 스케치를 진행하여 중간과정에서 조율한다던지, 단계별로 시간과 집중도 비율을 현격히 달리한다던지, 도출된 디자인 컨셉에 내부설계를 맞춰본다든지 하는 일들이다. 나름대로 디자이너 자신의 능력에 따라서는 1~2단계정도로 축소 할 수도 있다. 요즈음은 시장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하기 때문이다. 주어진 제품을 어떠한 과정으로 디자인 할 것인가 하는 계획 또한 새로운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_은 병 수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