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월드리포트

ATOM, GOZILA에서 TOTORO까지

아라이 레이코  | 2003-07-14

★어느 작은 도시에도 한두개 씩 있는 조금만한 약방, 음방집, 과자집, 전기점 앞에 서 있던 pop dolls. 마네키네코(손님이 많이 들어오기를 비는 고양이)와 후쿠스케 (손님에게 고개 숙여서 인사하는 남자애) 등 고객을 부르는 인형이 원래 있었던 일본의 점포들에 소화30년대(1950년대)가 되서 많아 나타나게 되었다.
그 가운데에서 가장 큰 것은 아시다시피 제과 후지야의 PEKO-CHAN POKO-CHAN이다. 후지야 앞에 가면 지금도 이 커플이 손님을 환영하고 있을 것이다.
민속학자 아라마타 히로시씨가 이전에 PEKO-CHAN POKO-CHAN이란 소년과 소녀의 캐릭터를 보고 기형(奇形)의 전형이라고 했다. 단, 여기서 기형이란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사진적인 현실감을 일탈해 만화에서 나온 곡선이나 형태가 그 모습 그대로 길가에 나왔을 때 어색함과 귀여움이 섞인 느낌이 있다는 뜻이다.
재미있는 예를 들어보자.
사토제약의 고끼리의 Sato-chan: 겨울마다 사람들을 괴럽힌 코감기로 코가 막혀서 답답한 사람이 많았으니까 잘 낫다고 코기 긴 고끼리가 되었다고 한다.
, KOWA제약은 개구리의 Kero-chan : "Kerori"라는 말은 아프던 것이 거짓말처럼 잘 나았다는 의미와 개구리가 우는 소리 Kero Kero를 합해서 Kero-chan. 아주 잘 나아라는 뜻한다. 약을 먹기 싫어하는 아이들의 기분을 불여주었던 것이다.


. . . . .

테주카오사무씨의 철완 아토무. 현제에 이루기까지 일본의 만화에 관한 모든 것이 여기서부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토무 이전의 세대가 봤던 군대 만화 노라쿠로와 대조적으로, 입체적인 장면의 구성과 원활한 동작,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이들의 꿈을 키워주는 스토리 구성 등은 시간이 지나가도 작품의 가치로서는 풍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철완아토무가 준 임펙트는 그런 내용 뿐만이 아니었다.
도쿄올림픽 이후 각 가정에 들어간 텔레비전. 텔레비젼, 세탁기, 냉장고 이란 세가지 가전이 생활의 소박한 꿈을 주었던 이 시기에 저녁 때, 방송된 30분 만화이란 스타일을 도입한 것도 철완아토무가 처음이었다(아마 아시아에서도 처음이었던 것이다).
이 결과 미디어의 시청자층(視聽者層)이란 것이 새로 생겼다. 전국의 아이들이 같은 시간이 되면 텔레비전 앞에 앉아 같은 프로를 즐기는 시간. 즉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같은 세대가 전국적으로 같은 문화를 공유한 것이 하나의 스타일로 정착했단 말이다. 그것은 아직도 극장이나 길가에서 예능인을 봤던 사람들을 미디어형 Listerner, Watcher로 바로 대치한 가장 원시적인 것에 불과했으나, 실체로는 메체에 실린 동세대문화와 그것을 공유하는 시청자층(=소비자층)이 형성된 이 단계야 말로 이후의 광고, 디자인사가 진행해가는 모태가 된 것당.
♥현재의 테주카오사무의 인기를 보려면
효고현 타카라즈카시에 있는 기념관 http://www.city.takarazuka.hyogo.jp/Tezuka/
테주카 왈드 (ATOM dream project--현재 진행중입니다.) http://ja.tezuka.co.jp/
. . . . .



♠ 다이고후쿠류마루(第五福龍丸) -- 이 안타까운 이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소화29년(1949년) 3월 1일 비키니환초(環礁)에서 조업했었던 어선 다이고후쿠류마루가 미국의 수소폭단실험을 맞은 사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악무가 지워지지 않는 사람들에게 충격을 준 이 사건을 계기로 한 캐릭터가 태어났다. 아시다시피 GOZILLA 였다.
방사능을 맞아 해양생물이 거대화하는 아이디어는 GODZILLA에 앞서서 미국에서도 영화 "The Beast From 20,000 Fathoms"로 리리스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일본이야 말로 핵의 무서움을 더더욱 진시하게 그린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느낀 영화인들이 있었다. 프로듀서 타나카 토모유키(田中友幸), 특수촬영기술자 추부라야 에이지(円谷英二) 등을 중심으로 혼다 이시로(本多 猪四郞) 감독 밑에서「황당한 괴수(怪獸)영화가 아니라 원자폭단의 무서움과 경악(驚愕)을 본 눈으로 만들자고(초대 감독 혼다 이시로)」 1954년 초대 GOZILLA가 스클린에 등장했다. 그 때부터 GODZILLA는 한상 이중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무섭지만 아이들이 되기도 하고, 파괴적이지만 지구의 아픔을 전해주는 메센저이기도 했다.


이후 (대강 변천을 말하면)
- 발전기
- 괴수들의 혼전(混戰)기(60-70년대 초반)
- 침묵의 9년 (75-84년까지)
- 1998년 Holywood에서의 성공 (그것도 너무나 maniac한 일본의 GODZILLA 팬들과는 달리 어디까지나 아웃사이더로서의 성공)
- 그리고 2000년판의 눈동자가 없는 하얀 눈의 GODZILA
이 동안 성격을 악간 바꾸면서도 GODZILLA는 계속「영원에 이질적인 것(무라타 케이노스케, 오카모토타로미술관 관장)」이란 몫을 함으로써 일본 캐릭터의 한 측면을 유지해 왔다고 할 수 있다.
현재 bio-technology와의 관련성이 미술, 디자인계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바람에 GODZILLA는 지금까지와는 또 다른 방향에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지난 4월부터 기획전 "GODZILLA의 시대 (2002냔 4월 20일-7월 28일)"를 개최한 오카모토타로 미술관에선 이 기획전시를 계기로 미술관의 있는 모습을 다시 모색해보겠다고 커멘트한 것도 일고하는 가치가 있다고 본다.

. . . .

철완아토무도 GODZILLA도 당시 개발된 몇가지 캐릭터들도 반세기 이상이 지난 오늘날도 각자 성격대로 광고, 패션, 굿즈 등에서 그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자패니메이션"의 제일인자 미야자키하야오씨의 "토나리노 토토로"(이웃의 토토로)의 무대도 텔레비젼이 보급하기 전의 마을이었습니다. 그런데 왜 그런지 물어볼 필요는 우리의 감각으로는 전혀 안 느껴집니다. 미야자키씨의 작품 속에서 일상생활의 여러 곳에서 신이 살고 있고 무슨 일이 있을지도 모르는 상황을 하나의 꿈으로 보는 요소를 찾아보는 것이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