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스페이스 | 리뷰

DMC를 대표하는 비즈니스호텔

2011-10-17



미국 맨해튼 한인거리에 스탠포드호텔을 소유 경영하고 있는 건축주는 서울시가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서울 서북권의 관문 상암 지구에 조성하고 있는 첨단 디지털미디어 시티(DMC)에 비즈니스호텔을 짓기로 하면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상세한 도시계획의 내용과 미디어보드의 엄격한 기준 그리고 군용항공기지구역으로 인한 고도제한 등의 까다로운 규준과 조건이 많은 대지이다. 북쪽으로 디지털미디어스트리트(DMS)로 명명된 전면도로가 있고 동쪽으로는 15m도로와 IT아크파크의 근린공원이 있고 서측에는 31m도로에 접하고 있는 삼면이 가로에 면하고 있는 대지이다.

설계 (주)비에스디자인 건축사사무소
위치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1587번지
용도 숙박시설(호텔)
대지면적 3,407.10㎡
건축면적 2,007.78㎡
연면적 26,278.31㎡
규모 지하5층, 지상12층, 객실수(239실+EFL)
마감 화강석, THK 24 복층유리


호텔은 고층부의 객실 타워와 저층부의 상업시설로 구성된다. 저층부와 고층부의 적절한 비례와 분절을 통해서 조형을 가볍고 경쾌하게 조절했고, 저층부의 입면은 대리석과 유리로 구성했다. 호텔 이용자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에게 접근성과 시각적인 인지 측면에서 최대한 열린 평면으로 구성하고 지역 사회에서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문화적인 이용이 되도록 전시시설을 도로측에 면하도록 계획했다. 미디어스트리트에 면한 1층의 주된 용도인 식당은 도로에서 직접 접근 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지하1층에서 지상 3층까지는 F&B(식음료)와 스포츠 센터 등으로 용도가 구성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비즈니스호텔에 시티호텔의 성격이 더해졌다. 추후에 건설될 DMC 랜드마크 타워의 대규모 초고급 호텔과 상호 보완될 식음료와 집회, 피트니스의 수요의 예측을 통해서 상업시설이 구성되었다.

대지의 크기가 시설의 규모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여유가 없어서 저층부의 대규모 프로그램을 해결하기 위한 포디움 부분은 컨벤션과 수영장이 객실타워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건축 계획적이고 구조적인 많은 해결이 필요하였다. 고도제한으로 인한 층고의 제약으로 객실타워는 벽식 구조를 채택하여 기준층의 층고를 3m로 낮추어 해결하였고, 지상 4층의 바닥에서, 객실층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트랜스퍼 거더(transfer-girder)를 사용해서 컨벤션과 수영장의 대공간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1,2층의 평면에서는 하중을 전이시킨 기둥 크기의 증가와 불규칙한 간격의 문제가 생겨서 공간 구성이 쉽지 않았다. 좁고 긴 대지를 최적화하고, 대지의 형상을 이용해서 갈매기모양으로 객실 타워부 평면을 꺾어서 형태상의 지루함 없애고 가벼운 변화를 만들었다. 도로측으로 향한 객실 타워부 입면의 외장 재료는 복층 유리로 되어 개방감, 투명성이 표현되고 후면부는 실별로 구획된 펀칭 윈도우로 디자인하고 화강석 판석을 주재료로 사용하였다. 중복도 타입의 판상형 호텔에서 객실의 조망과 향은 한 면이 좋으면 다른 면은 상대적으로 나쁘게 된다. 스탠포드 호텔의 경우도 디지털미디어스트리트에 면한 북측이 정면성을 가지면서 전면 도로 측으로 열려서 비교적 양호한 조망이 가진다. 타워의 남측은 인접대지와 근접해서 조망이 불리하게 되어 계획을 진행하면서 대지 조건의 한계에 대하여 아쉬움이 남는다.

포디움의 상부층인 4층의 객실은 각 실에서 외부로 나올 수 있는 전용 테라스가 있는 특별한 객실로 디자인되었다. 포디움의 폭과 객실 타워 폭의 차이로 생긴 자연 테라스이지만 적극적으로 객실별로 개별 정원화하여 스탠포드 호텔의 특색이 될 것이다. 최상부의 11층에는 EF(Executive Floor) 라운지가 있고 11,12층은 EF로 운영된다. 비즈니스호텔로서 일반 객실은 3m와 3.3m 베이의 비교적 작은 객실로 구성되었고 경제적으로 운영되도록 계획하였다. 타워부분의 옥상은 옥상정원을 계획하고 그늘을 만들어주도록 쉐도우 캐노피를 구조물로 설치하여 이용자가 편하게 휴식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쉐도우 캐노피는 서측 입면에 꺾여 따라 내려와 복도 발코니와 연결되면서 조형적인 변화 요소로 쓰인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