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스페이스 | 리뷰

집 같지 않은 집(非家然家)

2012-01-06


이태원은 도시 내에서도 가장 다양한 문화와 삶이 공존하는 장소이다. 그 안에서도 이곳은 번화한 상업지역과 남산의 남쪽 끝자락 단독주택지의 경계부에 위치해 남동으로 이태원 특화거리의 상업시설과 인접해 있다. 집은 그 사람의 삶을 담는 공간이다. 성장한 자녀를 둔 건축주는 획일화된 아파트에서 벗어나 주택만이 가질 수 있는 공간의 다양함과 가족 개개인이 독립적이면서도 함께 할 수 있는 집을 바랬다. 그리고 일상적인 편안함만을 가진 누구나 떠오르는 집이 아닌 ‘집 같지 않은 집’을 원하였다. 일련의 단독주택지에 조금 낯선 모습으로 서 있는 이 주택은 이태원이라는 장소가 갖고 있는 또 다른 다양성으로 표현한다.

기사제공 | 건축디자인신문 에이앤뉴스

설계총괄 류재은/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설계담당 시건축/ 강부미, 이주영, 하재우, 이보연, 양수진, 박소연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108-6
대지면적 603.00㎡
건축면적 203.00㎡
연면적 414.21㎡
규모 지하2층, 지상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마름모 형태의 대지는 남북으로는 5~6m 도로에, 동서로는 이웃주택과 접해 있다. 대지는 남쪽으로 6.3m의 고저차를 가지고 있어, 남쪽과 북쪽의 두 길은 소통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거대한 옹벽은 보행자들에게 또 다른 위화감을 주게 된다.

중량감 있는 대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대지의 무게를 7개의 매스로 분절시키고 땅에서 솟아 올려 개별 프로그램으로 만들었다. 분절된 매스는 각각의 기능에 충실하며, 대지의 남과 북을 관통시키는 틈을 만들어 주었다. 한정된 전망은 이 집을 땅의 내부로 향하게 하는 중요한 디자인요소가 된다. 남과 북의 중간 레벨이자 땅의 중심 공간에 위치한 비워진 중정은 모든 시야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이 중정을 통하여 시선은 흐르고 머무른다. 북쪽의 도로에서 들어서면 분절된 매스 사이의 투명한 복도를 관통해 남쪽 중정과 정원의 모습을 암시하며, 현관을 열어 보이는 시야는 남서로 향한 한정된 전망과 정원을 적극적으로 보여준다. 1층의 현관은 가족 모두가 사용하는 거실, 독립성을 가진 개인서재로 가는 동선과 정원으로 열린 식당 및 주방의 동선으로 분리된다.

지하 현관과 2층으로 연결되는 내부계단은 열려진 틈 사이로 북쪽의 외부공간을 보여주며 경사진 지붕의 형태를 살린 2층의 침실들로 연결된다. 외부의 블랙 목재패널과 지붕의 징크는 땅에서 솟아오른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며, 단단하게 땅에 박힌 견고함을 느끼게 한다. 연결된 평지붕의 복도는 유리로 마감을 하여 블랙 목재패널을 강조하며, 남쪽으로 면한 경사의 지붕에는 일체화된 태양광전지판을 설치하여 에너지절감의 효과와 단일화된 매스를 유지하였다. 내부는 외부의 블랙과 대비되는 화이트로 마감하였으며, 분절된 매스와 경사진 지붕은 개개의 실을 모두 다른 형태의 내부공간으로 만들어 준다. 실내의 시야는 남쪽의 침실에서 복도를 관통해 북쪽의 외부공간으로 향하고 2층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1층의 거실과 중정으로 열어준다. 유리 복도로 연결된 서재는 외부 정원을 그대로 보여주며 경사진 벽과 천정으로 일상의 집과는 다른 공간의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서 개인주택은 자신만을 위한 집으로 만들어진다. 사적인 편안함만을 위한 커다란 매스는 높은 옹벽과 함께 더욱 그 덩어리를 크게 한다. 수직성(Verticality)을 강조한 매스의 분절은 지형의 단차로 만들어지는 거대한 옹벽의 일부를 잘라내고 그 사이로 비워진 틈을 만들어 주었다. 그렇게 비워진 중정은 공간적으로 나누어진 실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며 함께 하고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류재은 Jaieun Lew
서울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였으며 미시간대학원 건축과 석사이다. 1982년부터 84년까지 W. BECKET ASSOCIATES, New York과 J. S. SAMPERTON ASSOCIATES, Washington D.C.의 디자이너와 89년까지 J.S. SAMPERTON ASSOCIATES, Washington D.C.의 Project Architect를 거쳤다. 세종대 건축과 조교수로 몸담았으며 1992년부터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대표로 있다. 서울시 재정비촉진심의위원회 위원과 서울시 특별경관관리설계자였으며 현재 서울시 도시 · 건축 공동위원회 위원이다.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서울특별시건축상 대상 및 우수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 강남구 아름다운 건축물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