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스페이스 | 리뷰

계동 디자인 산책

2010-04-08


삼청동과 인사동에서 조금만 옆으로 돌아서면, 한적하고 고즈넉한 계동이 숨어 있다. 중앙고등학교 정문을 시작으로 구불구불 이어지는 계동길. 그 길을 따라 걷다 허름하고 낡은 목욕탕과 마주쳤다. 40년 이상 되어 이 동네의 터줏대감이라는 ‘중앙탕’의 주인은 하모니카 연주가 끝나면 대금으로 바꿔 불고, 그것도 바닥이 나면 노래방 애창곡을 한 곡 뽑아 재낀다. 구수한 노랫가락을 들으며 동네 곳곳을 돌다 보면 어느새 골목 풍경 하나하나가 눈과 귀로 들어와 마음에 쌓인다. 어쩐지 포근하고 정겨운 동네다. 이런 곳을 지면에 실어 소문을 내는 것이 망설여진다. 많은 사람들이 드나들다 보면 삼청동처럼 닳아버리진 않을까 하는 걱정에서다. 하지만 나름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보물 같은 디자인 스팟들을 혼자만 알고 있기에는 역시 놀부심보다. 그래서 소개한다. 느릿느릿한 걸음으로 둘러보는 계동 디자인 산책.

에디터 │ 이영진(yjlee@jungle.co.kr)
사진 │ 스튜디오 salt

40년이나 된 목욕탕, 중앙탕 맞은편에는 완연한 봄이 와 있다. ‘Salon de Flore’, 그리 크지 않은 꽃집 겸 갤러리다. 외관의 화이트 커튼이 화사하고, 쇼윈도 너머로 분홍 장미가 화사하고, 무엇보다 가게 주인장이 화사하다. 플로리스트 박사임은 계동 식구가 된 지 이제 2년쯤 되었다.

본래 웹디자인 일을 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플로리스트 과정을 밟고, 지금의 가게를 열게 되었다. 웹디자인과 꽃의 거리는 지구에서 달만큼이나 먼 거리일까, 아니면 옆 사람 숨소리가 들릴 만큼 가까운 거리일까. 박사임은 후자일 것이다. 그녀의 능력이 디자인으로 표출되던, 꽃으로 표출되던 유난히 어릴 적부터 꽃을 좋아했던 심성이 숨어 있는 것만은 확실하니까. 그녀는 디자인을 하는 친구네 작업실을 오가며 계동의 정취에 푹 빠져 선뜻 가게를 냈다. “옆 동네 삼청동엘 가보면 상업시설이 너무 많이 들어서서 예전의 그 운치를 느낄 수가 없어요. 이곳은 삼청동같은 도로가 아니고 골목길이라서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이제 1년 반 정도 살아보니 정말 사람 사는 동네인 것 같아 더욱 정이 가네요.” 구불구불 비좁고 불편하지만 마주치는 이 누구에게나 인사를 건넬 수 있는 이 동네가 어쩐지 정겨워서 마음에 든다고.

그녀는 같은 주제, 다른 시각으로 사람들이 수다를 떠는 그런 공간을 만들고 싶어 가게에 ‘살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로드숍은 부담스러웠고, 그냥 동네 구석에서 개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꽃집을 마련하고 싶었다. 그런데 그냥 꽃집이라기에는 무언가 다르다. 고급스러운 자작나무 패널을 덧댄 한 쪽 벽면에서는 사진전이 열리고 있고, 그 흔한 꽃 저장용 냉장고도 없이 절화만 스타일링 되어 있다. “꽃그림작가 백은하 씨가 여기서 전시도 함께 해보면 어떻겠냐고 했죠. 그냥 밋밋한 꽃집이 아니라 이야기가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던 참에 제안을 받아들였어요. 꽃 저장용 냉장고가 없는 것은 그날그날 콘셉트에 따라 스타일링해서 자유롭게 판매하고자 한 것이고요.” 현재 살롱 드 플로르에서는 황진 작가의 사진전이 열리고 있고, 다음 달에는 티테이블 오피스 전시가 열릴 예정이다. 이제 그녀는 잠시 외출할 때면 그냥 문을 열어둔 채로 다닌다. 누구든 들어와 꽃과 사진 전시를 구경했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어쩌면 그녀에게는 웹디자인과 꽃의 거리만큼 문을 여닫는 것이 별 의미가 없는지도 모른다. 돌아서는 길에 선물이라며 한 아름의 꽃을 다듬는 그녀의 손길은, 꽃을 피워내는 봄처럼 생기가 넘친다.

노란벽 작업실은 계동길의 중간쯤, 주 도로에서는 보이지 않는 골목 안쪽에 숨어 있다. 누가 노란벽 작업실 아니랄까봐 진짜 외벽을 노랗게 칠해 놓았다. 유난히 천장이 낮고 길쭉한 평면 덕에 동굴 같기도 한 작업실 안은 작가 정옹의 상상의 세계다.

그녀의 그림, 조형 작품은 모두 상상 속에서나 보았을 법한 것들이다. ‘말 안 듣는 7살을 위한 헬멧’, ‘자동 공부 손’, ‘7살을 위한 식스팩’ 등 제목만 들어도 벌써 웃음부터 나오는 작품들. 워낙 그로테스크하고, 아이러니한 것을 좋아해 작품에도 이런 그녀의 감성들이 고스란히 묻어 나온다.

작업실 내부를 걷는 걸음걸음마다 리드미컬하게 흐르는 음악이 박자를 맞춰주고, 창고 같은 공간이 만들어낸 묵은 기운이 코로 스며든다. 작업실 곳곳에는 옛 주인이 시멘트 벽돌로 쌓아 만든 장식이 지나간 세월의 흔적처럼 남아 있다. 어쩌면 무겁다고도 할 수 있는 풍경을 노란 백열등이 따뜻하게 감싸 안는다. 작업실로 사용하기 위해 직접 개조했다는 이곳은 깔끔하게 정돈되진 않았지만 푸근한 느낌이 드는 것이 계동길 풍경과도 잘 어울린다. 이 공간의 주인 정지연은 본래 신문방송학과를 전공했지만 그림이 좋아 다시 학교를 갔다. 작품 활동을 하며 사용하는 ‘정옹’이라는 이름도 나이 차가 많이 나는 아이들과 학교를 같이 다니다가 붙은 별명이다. 지금도 학교를 다니고 있는 그녀는 개인 활동을 쉬고 싶지 않아, 혼자 작업을 할 공간을 찾다가 지금의 계동 골목길에 자리를 잡았다. “디자인하는 친구가 작업실을 구하는데 따라 나섰다가 계동의 이 장소를 발견했어요. 본래 빈티지한 것을 좋아하는 편이라 이곳을 보고 제 작업실로 적격이다 싶었죠. 마음에 쏙 들어 단번에 계약을 해버렸어요.” 돌아오는 길에는 또 일을 저질렀다며 반성했다지만 이내 30년 된 참기름 집, 40년 된 목욕탕 등 모든 것이 매력적이고, 이웃집 아저씨에게 인사만 잘해도 선물을 받을 수 있다며 자랑을 늘어놓는다.

노란벽 작업실은 사실, 앞의 네 곳보다는 조금 폐쇄적인 개인 작업실이다. 최근 디자인 스팟으로 부각되고 있는 계동을 오가는 이들이 노란벽 작업실의 독특한 외관을 담아가 블로그에 올리고, 하나같이 작업실의 주인을 궁금해한다고 했더니, 그녀는 정작 찾아오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고. “언젠가 한번은 드라마 작가가 찾아 와서 작업실을 촬영장소로 사용하고 싶다고 했었어요.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해서 꾸민 것도 아니고, 외부에 지나치게 알려지는 것은 원하지 않아서 사양했지요. 하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언제나 환영이랍니다.” 이제 근사한 외관의 노란벽 작업실 내부가 궁금하다면, 문 앞에서 서성거리지 말고 용기 내어 문을 똑똑 두드려보자. 한번도 보지 못한 상상의 세계가 펼쳐질지니.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